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서천군농업기술원!!

영농교재

농업정보 영농교재

벼 최근 주요 발생 병해충 및 미질에 끼치는 영향 글의 상세내용

『 벼 최근 주요 발생 병해충 및 미질에 끼치는 영향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 부서명 , 등록일 , 조회 , 첨부 ,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벼 최근 주요 발생 병해충 및 미질에 끼치는 영향
부서명 관리자 등록일 2007-04-30 조회 4256
첨부  
□ 최근 병해충 발생 및 방제동향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벼의 병해충 종류는 170여종이나 이 가운데 벼농사에 문제되는 병해충은 10여종이다. 품종의 변천, 재배양식의 변화, 이앙방법이 바뀌고 이앙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병해충의 발생양상이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발생이 많은 병해충은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 흰등멸구, 벼물바구미, 혹명나방 등이다.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은 매년 40ha 내외로 많이 발생되고, 잎도열병은 변동폭이 커서 많은 해는 10~15ha, 적은 해는 4~5만ha 발생되고 있으며, 세륜성벼알마름병은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 지난해부터는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줄무늬잎마름병(호엽고병)이 발생되고 있다.
벼멸구, 흰등멸구 등 비래해충은 몇 년마다 주기적으로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벼물바구미는 전국으로 퍼져 매년 발생이 증가되고 있고, 98년부터 먹노린재가 발생되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병해충 방제는 농약사용회수를 감축하면서도 방제효과를 높이는 기술 보급에 중점을 두며 품종, 재배환경 등을 감안한 종합방제 기술보급 등으로 농약사용량을 줄이면서 노동력도 절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고품질의 양질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예찰과 방제가 필요하다. 쌀알에 반점미나 흑점미를 방생시키는 벼잎선충이나 노린재를 비롯하여 깨씨무늬병, 이삭누룩병, 세균성벼알마름병 등 미질에 영향을 많이 주는 병해충방제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쌀 품질에 영향이 큰 병해충

병해충명

미질에 미치는 영향

대      책

잎도열병 - 변색미, 쭉정이, 기형미 비율 증가 - 질소질 과비 지양, 적기방제
이삭도열병 - 냄새, 맛, 점도 등 종합 식미 저하 - 질소질 과비 지양, 적기방제
이삭누룩병 - 등숙불량, 현미 품질 저하 - 건전종자 사용, 질소질 과비지양
잎집무늬마름병 - 미질에 직접적인 영향은 적음 - 초기 전염원(균핵) 제거
깨씨무늬병 - 현미광택 소실, 사미&심복백미 증가 - 토양개량 및 후기비절 방지
흰잎마름병 - 쌀알 완전성숙 저해 - 상습지 위주 방제
세균성벼알마름병 - 쭉정이와 쌀알에 갈색줄무늬 발생 - 건전종자 사용, 염수선
이삭마름병 - 변색미, 불완전립 발생, 품질저하 - 출수기 질소과비 지양
벼멸구 - 심백미, 복백미, 유백미, 동할미 발생
- 전분과 단백질 함량 감소
- 정밀 예찰, 적기방제
벼물바구미 - 품질저하는 크지 않음
- 처미, 사미 비율 증가
- 상자처리, 본논방제
노린재, 벼잎선충 - 반점미, 흑점미 - 살충제 혼용 종자 소독

가. 이삭도열병
      - 병 발생정도가 높을수록 관능검사의 냄새, 맛, 점도 등의 종합식미 평가 지수가 낮아지고 쌀의 식미가 저하
나. 이삭누룩병
      - 이삭 중 병든 벼알이 1~2립인 경우는 등숙에 차이가 없고 이상일 경우 1립 증가하면 등숙율이 5%정도 감소되며,
        이병수율 5% 이상시 병든 벼알은 정미후에도 후막포자가 현미에 부착되어 있어 검게 보임
다. 깨씨무늬병
      - 현미의 광택이 없어지고 사미와 심복백미가 증가
라. 기타 이삭마름병해
      - 벼의 이삭마름 병해와 변색미의 발생은 수량성보다는 미질을 저하
마. 벼멸구
      - 벼멸구 피해는 쌀의 품질에 영향을 주어 심·복백미, 유백미의 피해를 4배 이상 증가시키고, 동할미도 2배정도
        증가하고 전분과 단백질 함량을 감소시킨다. 피해를 받아 일찍 고사 할수록 품질을 저하시킴
바. 노린재류, 벼잎선충
      - 노랜재류 : 반점미, 벼잎선충 :흑점미 유발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영농교재 의 이전글과 다음글을 보여주는 설명하는 표입니다.

다음

담당부서 :
농업지도과
연락처 :
041-950-6622